항목 : 1.4.2 관리체계 점검
■ 인증기준 : 관리체계가 내부 정책 및 법적 요구사항에 따라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독립성과 전문성이 확보된 인력을 구성하여 연 1회 이상 점검하고, 발견된 문제점을 경영진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주요 확인사항
- 법적 요구사항 및 수립된 정책에 따라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관리체계 점검기준, 범위, 주기, 점검인력 자격요건 등을 포함한 관리체계 점검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가?
- 관리체계 점검 계획에 따라 독립성, 객관성 및 전문성이 확보된 인력을 구성하여 연 1회 이상 점검을 수행하고 발견된 문제점을 경영진에게 보고하고 있는가?
■ 관련 법규
- 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안전조치의무)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4조(내부관리계획의 수립·시행)
-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3조(내부관리계획의 수립·시행)
■ 세부 설명
① 법적 요구사항 및 수립된 정책에 따라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관리체계 점검기준, 범위, 주기, 점검인력 자격요건 등을 포함한 관리체계 점검 계획을 수립하고 경영진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점검기준 :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포함
- 점검범위 : 전사 또는 인증범위 포함
- 점검주기 : 최소 연 1회 이상 수행 필요
- 점검인력 자격요건 : 점검의 객관성,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자격 요건 정의
② 관리체계 점검 계획에 따라 독립성, 객관성 및 전문성이 확보된 인력을 구성하여 연 1회 이상 점검을 수행하고 발견된 문제점을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등 경영진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점검의 객관성,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점검조직 구성
- 점검 계획에 따라 연 1회 이상 점검 수행
- 점검 결과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조치계획을 수립·이행하고, 조치 완료 여부에 대하여 추가 확인
- 점검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등 경영진에게 보고
■ 증적예시
- 관리체계 점검 계획서(내부점검 계획서, 내부감사 계획서)
- 관리체계 점검 결과보고서
- 관리체계 점검 조치계획서/이행조치결과서
-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회의록
■ 결함사례
- 관리체계 점검 인력에 점검 대상으로 식별된 전산팀 직원이 포함되어 있어 점검의 독립성이 훼손된 경우
- 금년도 관리체계 점검을 실시하였으나, 점검범위가 일부 영역에 국한되어 있어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범위를 충족하지 못한 경우
- 관리체계 점검 시 발견된 문제점에 대하여 조치계획을 수립하지 않았거나 조치 완료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경우
출처 : ISMS-P 인증기준 안내서 (2022.04)
금융권에 적합한 ISMS-P 인증 점검항목(2022.09)
_그사람
'그사람의 도전(ISMS-P 인증심사원) > ISMS-P 인증심사기준(가이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MS-P 인증기준 [2. 보호대책 요구사항] 2.1 정책, 조직, 자산 관리(2.1.1 정책의 유지관리) (0) | 2023.02.10 |
---|---|
ISMS-P 인증기준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1.4 관리체계 점검 및 개선(1.4.3 관리체계 개선) (0) | 2023.02.09 |
ISMS-P 인증기준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1.4 관리체계 점검 및 개선(1.4.1 법적요구사항 준수 및 검토) (0) | 2023.02.09 |
ISMS-P 인증기준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1.3 관리체계 운영(1.3.3 운영현황 관리) (0) | 2023.02.09 |
ISMS-P 인증기준 [1.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1.3 관리체계 운영(1.3.2 보호대책 공유) (0)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