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셋팅하다보면 기본적으로 해야 할일들 있습니다.
호스트 네임이 그중 하나 인데요 최근에 셋팅한 서버가 이름이 기본값으로 되어있어서 변경보았습니다.
CENTOS를 기준으로 설명드릴께요
따라해 볼까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임시로 변경하는 방법이 있고
또 하나는 영구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임시로 변경하면 리부팅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겠죠?
각각 쓰임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건 상황에 따라 알아서 해주시구요
우선
변경하기전에 현재이름을 확이해야겠죠?
현재 설정된 호스트네임을 확인한 후에
우선 임시로 변경해보겠습니다.
결론 : 프롬프트에서 hostname 를 입력하면 현재이름을 확인할수있다
프롬프트에서 hostname 변경할이름 을 입력하면 임시로 새로운 이름으로 설정할수있다.
** 주의 임시라서 리부팅하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프롬프트 옆에 변경되지 않은것처럼 보이는것은 세션을 다시 열면 변경된것으로 보인답니다. ^^
이번엔 셋팅을 해서 리부팅과 상관없이 변경해볼까요?
보통 서버를 새로 셋팅할때 이름을 이렇게 부여합니다.
vi 로 파일을 열고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다 아시겠지만 vi에서 저장하려면 :wq 입력하면 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리부팅과 상관없이 설정된 이름으로 사용가능합니다.
단
버전에 따라서(보통 CENTOS 7이상)
#hostnamectl set-hostname beingIT
이렇게 진행해야 할수도있습니다.
이상 리눅스 서버 호스트네임 변경하기 알아보았습니다.
_그사람
'그사람의 IT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서버 백신(카스퍼스키) 장애처리중..ㅠㅠ (0) | 2021.06.28 |
---|---|
[서버]Dell PERC cli(레이드컨트롤러 커맨드) (0) | 2020.11.16 |